@JK 소통공간/(4) 기반시설 자산관리(Infra Asset Management)

[JK Infra ARM] 영국 IAM(자산관리협회) AM해부학 제4판 - 제2장 요약

바름브레인 VARM Brain CEO 2025. 3. 29. 19:44

2. 요약

축구를 본 적이 없는 사람과 축구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경기를 보러 간 적이 없거나 축구를 해 본 적이 없는 사람과 축구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자산관리와 같은 추상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더욱 어렵다. 이 글에서는 자산관리가 무엇인지(그리고 자산관리가 아닌 것은 무엇인지), 자산관리의 발전에 대한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자산관리의 핵심 원칙과 아이디어를 설명한다. 그런 다음, 자산관리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 접근 방식을 채택할 때의 의미와 이점에 대해 살펴본다. 실제 생활에서 자산관리를 도입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논의하기 전에 몇 가지 모델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2.1. 자산은 단순한 자산이 아니다.

아름다운 물건이 아니라면, 자산은 단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자산은 올바르게 다루면 가치가 생긴다. 자산은 또한 빠르게 부채가 될 수 있다(나중에 자세히 설명). 자산관리는 자산을 사용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가치란 조직에 중요한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는 자산을 말 그대로 조직에 가치 있거나 가치 있을 수 있는 모든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에는 브랜드 또는 평판, 지적 재산, 노하우 및 인력, 천연 자원, 돈 또는 물리적 또는 제조된 것 등이 포함된다. 조직 활동의 모든 '결과'는 인식과 측정된 산출물을 포함하여 관련이 있다. (결과와 산출물의 차이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4.1항 참조)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치'가 모순과 절충점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단일한 조직적 합의가 되어야 한다. 돈보다 더 넓은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우리는 '6대 자본(The 6 Capitals)'⁴을 추천한다. 왜냐하면 이것이 통합 보고서작업의 프레임워크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IAM의 10-박스 역량 모델과의 연계는 5절에서 설명한다.

...지속가능성과 같은 다차원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전략적, 장기적, 통합적 접근 방식...

2.2 기술적 활동 그 이상의 무엇.

자산의 가치를 실현한다는 것은 올바른 자산을 선택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전체 자산 생애주기(재활용/폐기/재활용 포함 - 3.5.3항 참조)를 고려하여 소유의 총비용과 편익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자산관리⁵(MofA) 또는 간단히 '자산관리'라고 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일관되게 적용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자산관리를 잘하면 상당한 비용 절감 및 기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은 자산을 얻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것이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확인하는 유일한 방법은 조직의 목표를 이해하고 다양한 MofA의 임팩트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출, 결과, 가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통합적인 사고와 총체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중요한 '지원 요소'가 필요하다. 이처럼 더 넓고 심층적인 접근 방식이 바로 '자산관리'이다.

자산관리는 진정 전략적인 접근이다: 조직은 어떤 자원(자산)이 필요한지 이해하지 않고서는 합리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자산과 비용이 가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조직의 목표를 반복적으로 도출해야 한다. 가치 사슬 사고, 운영 효율성 및 유사한 기법은 10-박스 모델과 잘 맞는다.

 

2.3. 조정된 활동 - 그것이 바로 팀워크!

성공적인 자산관리에는 조직 내의 많은 개인(및 파트너와 공급망)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또한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자(주주, 규제 기관, 고객 등)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다. 자산관리는 조직의 모든 수준에서 여러 기능을 담당하는 팀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략적 결과의 선택에는 리더의 지도가 필요하다.

여러분은 동료들이 여러분 만큼이나 조직의 목표와 우선순위를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가? 아니면 여러분이 자리를 비운 동안 모든 일이 여러분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를 바란 적이 있는가? 올바른 문화를 바탕으로 한 자산관리의 체계적인 접근 방식은 성과와 결과를 변화시키고 이러한 성공을 지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변화에는 자원과 끈기가 필요하다! 이 프로젝트는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아니며, 조직은 자산관리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 가볍게 시작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9분짜리 인기 비디오인 The Big Picture(7)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산출물과 KPI 외에도, 자산관리를 도입하는 좋은 이유는 조직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8). (자산 관리 접근 방식을 통해 전략을 수립했다고 가정할 때).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세상에서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통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 재무, 자산, 인력, 모든 종류의 리스크 데이터에 대한 단일 소스...

2.3.1 관리 시스템, 통합 및 사일로

비록 우리가 철학과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러한 변혁적인 변화는 자산관리를 위한 관리시스템의 뒷받침이 있을 때 가장 잘 작동한다. 우리는 독립형 시스템을 도입하기보다는 조직의 기존 관리시스템에 ISO55001의 요구사항을 적용할 것을 권장한다.

자산관리는 통합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 자산관리는 사일로 경계를 줄이고 모든 전문가의 더 나은 협력과 참여를 보장한다. 이로써 조직의 우선순위와 활동이 조화를 이루게 된다. 타협은 투명하고, 의식적이며, 다학제적이며, 오해의 소지가 적다. 정책의 'U턴'과 실망스러운 변화는 줄어들 것이다. 이는 특히 노하우나 문화와 같은 역량과 오래 지속되는 물리적 자산에 유용하다. 이 모든 것에는 일관성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자산관리는 새로운 사일로가 되어서는 안 된다! 축구를 예로 들면, '코치'라는 소규모 전문가 그룹을 개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자산관리를 해야' 하며, '시야 범위'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3.4.3절 참조).

2.4. 자산과 가치 및 수입의 연계

자산이 어떻게 수익이나 결과에 기여하는지 알 때만 자산을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자산의 가치가 없이는, 자산을 더 좋게 만들거나 더 신뢰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한 투자는 무의미하다. 따라서, 미래의 부채, 리스크 또는 성과에 어떤 잠재적 피해를 줄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산 지출을 줄여서는 안 된다. 이것은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놀랍게도 이를 엄격하게 지키는 기업이나 정부는 거의 없다!

반짝반짝 빛나지만 아무도 없는 연구실은 대학에 어떤 가치가 있겠는가? 적절한 연구자를 유치하여 자금을 지원한다면 큰 가치가 있을지도 모른다! 어떤 자산이 중요할까? 단순히 성과뿐만 아니라 수입 흐름도 중요하다. 자산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수입이 없는데, 왜 건설을 프로젝트로 관리해야 할까? 그리고 그 자산은 유지관리가 얼마나 용이할까? 수입을 창출할 수 있을까? 순 제로(net zero)를 달성할 수 있을까? 약간의 예방적 유지보수로 자본 지출을 연기할 수 있다면, 왜 자본 지출/운영 지출 예산을 별도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은 것일까? 실제로, 총소유비용(요즘은 별로 새로운 개념이 아닐 수도 있지만)은 얼마일까? 그러나 생애주기 동안의 총 가치는 얼말까?

자산관리는 모든 이해관계자가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지, 기회, 통찰력, 혁신 등. 이는 절충안을 다루는 맥락과 관점이며, 자산이 가장 잘 관리될 수 있는 수단이다.

사람들은 수세기 동안 자산을 관리해 왔으며, 때로는 다른이들보다 더 잘 관리하기도 했다. 지난 세기 동안, 이익은 자연 및 기타 자산의 소비를 지배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피해와 결과를 계산하거나 보고하지 않았다. ESG¹⁰ / 지속가능성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가장 잘 달성될 수 있다. 자산관리는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 6가지 자본과 같은 결과(가치)를 통합하여 Capex(자본지출)/ Opex (운영지출)을 최적화하는 일관된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2.5 요약

자산관리는 자원을 더 잘 활용하는 것과 결과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생활 수준을 높이는 등 여러분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유용하다.

이는 투자 평가, 전략 수립, 작업 프로그램 정의, 혜택 및 성과 평가와 예측에 대한 전체적인 관점과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을 참여시키고, 단기적인 희생과 장기적인 이익 간의 균형을 맞추며, 지역사회와 상업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자산관리는 전략적이다: '일을 처리하는 방식'이 추가적인 일의 양이 아니다. 때로는 복잡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이해관계가 있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대부분은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변화와 실천이 필요하다(11). 시간, 일관성, 헌신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즉각적인 해결책을 알고 있는가?

다섯 가지 원칙은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졌다. 그리고 절차나 AMS¹²와 같은 좀 더 공식적인 방식으로 조직이 무엇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시선(Line of Sight)', '지도 정신(Guiding Mind)', '단일 진실원(Single Source of Truth)'¹³과 같은 기억하기 쉬운 문구는 조직이 왜, 무엇을, 그리고 무엇보다도 어떻게 일을 해야 하는지 모든 사람에게 상기시켜 준다.

기술적인 프로세스와 절차보다는 '소프트'한 이슈를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실 수도 있다. 자산관리는 사고방식 또는 패러다임¹⁴이며, 조직 문화가 이를 육성할 수도 있지만 파괴시킬 수도 있다. 예산 회의를 생각해 보라: 사람들은 '자신의 몫'을 놓고 경쟁하고 있는가, 아니면 조직을 위한 최상의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전체적인 자원 배분(6가지 자본 모두)을 고려하고 있는가?

이 짧은 요약이 더 많은 것을 읽고 싶은 욕구를 자극하기를 바란다...

4. 통합 보고 또는 6대 자본을 검색하거나

https://integratedreporting.org/what-the-tool-for-better-reporting/get-to-grips-with-the-six-capitals/를 참조하십시오.

5. ISO TC251 기사 “자산 관리의 맥락에서 자산 관리”

https://committee.iso.org/sites/tc251/social-links/resources/guidance.html도 참조하십시오.

6. 여기서 비용은 지출을 의미합니다. 즉, 운영 지출(OPEX)과 자본 지출(CAPEX)을 모두 포함합니다.

7. ISO55001(www.theIAM.org/BigPicture)

 

  1.  
  2.  
  3.  
  4. Search Integrated Reporting or 6 Capitals or see https://integratedreporting.ifrs.org/what-the-tool-for-better-reporting/get-to-grips-with-the-six-capitals/
  5. See also ISO TC251 Article “Managing Assets in the Context of Asset Management” https://committee.iso.org/sites/tc251/social-links/resources/guidance.html
  6. ‘Costs’ here means Expenditure i.e. both ‘operational expenditure’ (OPEX) and ‘capital expenditure’ (CAPEX).
  7. www.theIAM.org/BigPicture
  8. See Section 3.5.1
  9. Acronym: Environmental, Social & Governance.
  10. But, if no management systems are in place, ISO55001 is a good way to start.
  11. See Section 6 for more about Excellence & Maturity in Asset Management
  12.  AMS = the Asset Management System (governance not the assets directly)
  13. Single source of truth – from integrated data and decision-making (removing ‘fake facts’ and argument)
  14. A set of assumptions, concepts, values, and practices that constitutes a way of viewing reality for the community that shares them, especially in an intellectual discip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