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 리 말
이 문서에 관하여
우리는 해부학에 대한 이전 버전이 여러나라의 비즈니스, 학계, 정부(중앙 및 지방), 비영리단체의 다양한 사람들이 읽고 사용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첫 번째 버전은 2011년에 출판되었고, 2014년과 2015년에 개정되었다. (이번) 버전 4는 많은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했으며, 추가적인 의견을 기다리고 있다.
우리는 자산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해부학을 개발했다: 자산관리란 무엇인가, 자산관리가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자산 관리의 범위, 그리고 자산관리의 기본 개념과 철학에 대한 설명. 또한, 자산관리를 뒷받침하는 지식, 기술, 태도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해부학 활용하기
전체 문서를 읽어 보시기를 권장한다. 그러나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면, 핵심사항을 이해하고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나머지 부분을 읽으시길 바란다.
1, 2절부터 시작하면 된다: '소개'와 '요약'. 이 절에서는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고, 자산 관리 활동의 폭을 파악하며, 이 분야가 탐구할 가치가 있는 분야임을 입증해야 한다.
그런 다음, 섹션 3 & 4: '자산관리란 무엇인가?'와 '자산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를 읽어보시길 권한다.
섹션 5 & 6: '자산관리 모델'과 '자산관리 수행'에서는 개념과 구조, 그리고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두 가지 모두를 위한 역량으로 향하는 '여정'의 개념과 탁월해지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한다.
자산관리를 위한 '관리시스템'(즉, 자산관리시스템)은 6.5절에서 다루고 있다. ISO 55001은 관리시스템에서 포착하고 문서화할 수 있는 측면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산관리의 규율은 이보다 훨씬 광범위하다. 따라서 해부학에서는 자산관리를 위한 관리시스템을 더 넓은 규율의 맥락에서 다루고 있다.
섹션 7 '자산관리 주제'에서는 자산관리가 제공하는 폭넓은 통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처음에는 일부 주제가 자신이나 자신의 비즈니스와 관련이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지만, 예상보다 더 많은 가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섹션 7은 순서에 상관없이 살펴볼 수 있다. 주제는 독립된 섹션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함께 살펴보면 자산관리가 통합된 전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가치가 없다면 우리는 다른 자료를 포함하지 않았을 것이다.
'@JK 소통공간 > (4) 기반시설 자산관리(Infra Asset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K Infra ARM] 영국 IAM(자산관리협회) AM해부학 제4판 - 제2장 요약 (1) | 2025.04.05 |
---|---|
[JK Infra AVR] 영국 IAM(자산관리협회) AM해부학 제4판 - 제1장 서론 (0) | 2025.04.05 |
[JK Infra AVR] 영국 IAM(자산관리협회) AM해부학 제4판 - 목차 (0) | 2025.04.05 |
[JK Infra ARM] 영국 IAM(자산관리협회) AM해부학 제4판 - 제10장 용어집 (0) | 2025.04.05 |
MFOA AM Framework 제3장 지역인프라 상태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