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M.VE (가치경영, 가치공학) 48

총사업비 관리지침 (2017.1.1 시행)

총사업비 관리지침의 변경사항 이력을 계속 확인하기 위하여 법제처로 부터 복사하여 왔습니다. 총사업비 관리지침 [시행 2017. 1. 1.] [기획재정부지침 제317호, 2017. 1. 1., 일부개정] 기획재정부(총사업비관리과), 044-215-7213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지침은 「국가재정법」 제50조, 같은 법 시행령 제21조 및 제22조의 규정에 의거 국가의 예산 또는 기금으로 시행하는 대규모 사업의 총사업비를 사업추진 단계별로 합리적으로 조정·관리함으로써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제고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및 범위) ① 이 지침에서 총사업비라 함은 「국가재정법 시행령」 제21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대규모 사업의 추진에 소요되는 모든 사업비용을 합한 금액을 말한다. ② 제1항의 규정에..

[ JK Blog 출판] (新)가치공학 - 제14장 시공VE인센티브 제도의 이해 및 적용

제14장 시공VE인센티브 제도의 이해 및 적용 가치공학(VE)은 23 CFR Part 627.3 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기능을 식별하고, 해당 기능에 대한 가치를 확립하고, 창의성을 사용하여 대안을 생성하기 위해 여러 분야의 팀에 의해 인정된 기술의 체계적인 적용으로 정의된다. "프로젝트의 안전, 필요한 품질 및 환경 적 특성을 희생시키지 않으면 서 프로젝트의 원래 목적을 안정적으로 최소 수명주기 비용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제공한다." 1. VECP: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즉 VE(설계)변경제안서입니다. 게약 후 VE를 통해 원가절감안을 계약당사자에게 제안하고 (설계)변경을 하여 원가절감이 되면 원가절감된 금액의 일부를 인센티브로 받는 미국의 ..

[AVR - VE(VM)표준] BS EN12973:2020 Value Management Standards 소식 알림.

영국 BSI에서 2000년 VM 표준을 갱신하여 2020 버전을 발표하였습니다. 발췌: IVM 홈페이지 가치관리 표준 표준 BS EN12973 : 2020은 의견의 합의를 나타내며 모범 사례의 벤치 마크를 제공한다. 표준 BS EN12973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매우 광범위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가치 관리의 본질을 포착하고 적용을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가치관리 접근방식, 원칙, 동인 (레버) 및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설명하고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방법과 도구를 선택하도록 권장한다. 이 표준은 주로 다음 개인 또는 그룹의 요구 사항을 다룬다. 지속 가능한 성과를 달성, 제공 또는 개선하려는 사람 조직 내에서 그리고 고객, 사용자 및 기타 이해 관계자를 위해 가치..

국내외 시공VE인센티브 VECP(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역사관

용어의 이해 http://blog.daum.net/jkinfraavr/29 2020년도 시공VE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이 개정되었습니다. (2019년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참고) 2020년도 김병수(2020 특집기사) 시설물 가치향상 주역으로서의 건설VE와 발전을 위한 제언, 대한토목학회지, 2020년 2월호 2019년도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9.09.03) 건설사 새로운 기술·공법으로 줄인 공사비 70% 돌려받는다 2018년도 김병수(2018) 기술기사 시공VE (VECP)의 이해 및 발전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2018년 4월호, pp. 3-8 2017년도 AASHTO Guidelines for Value Engineering, 4th Edition 2016년도 김성훈.임종권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