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 (자산관리) 22

[AVR 이슈검색] 국내(하수(도)+자산관리) 국내 연구자료(저널논문, 박사학위논문, (국책)연구보고서)

씽크홀 등 사고로 인해 하수도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관련 연구도 활발합니다. 아래는 하수+자산관리 키워드로 검색하여 발췌한 저널논문/박사학위논문/연구보고서입니다. 10MB 초과하는 자료는 원문위치를 연결해 드렸습니다. 아래 이외에 하수(도) 자산관리와 관련된 주요 연구문헌 등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여기에 추가로 등록하겠습니다. 1. 박사학위논문 - 강병준(2016) 박사학위논문 자산관리를 위한 하수관로 노후도 예측에 관한 연구 - 박하진(2011) 박사학위논문-하수처리시설 운영형태 비교와 비용분석을 통한 민간투자사업의 자산관리 적용성 연구 2. 저널논문 - 박미연 외 (2015) 저널논문- 민원자료분석을통한민원특성별서비스관리기준설정 - 이주현(2013) 저널논문-자산관리체계도입을..

@ AM (자산관리) 2020.03.31

[AMP Best Practice 사례 탐구] Blayney Shire Council 하수(도) 자산관리계획서

1. IPWEA JRA 검증 2. Blayney Shire 3. Blayney Shire Council의 하수(도) 자산관리계획서 (1) 요약 (2) AMP의 작성 목적 자산관리계획서는 인프라에서 서비스 제공이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AMP (Asset Management Plan)는 인프라 자산관리를 위해 개발된 계획서로, 자산의 수명주기동안 여러분야(Multi-disciplinary) 기술 (기술 및 재무 포함)을 적용 특정 서비스수준 LOS(Level of Service)를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반시설자산관리를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AMP의 목표는 합의된 LOS 제공과 관련된 비용 및 이점을 커뮤니티에 알리고 자산의 운영, 유..

@ AM (자산관리) 2020.03.29

[AM(자산관리) 기술동향] New Zealand Transport Agency (2012) 뉴질랜드 도로교량의 자산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전략 (Data collection and monitoring strategies for asset management of New Zealand road bridges)

1. 연구보고서 요약 이 연구는 2008년 7월~2011년 5월에 수행되었으며, 관련 문헌 검토와 뉴질랜드 교량 자산 관리 실무에 대한 조사 결과를 종합하였다. 검토와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준 높은 교량 자산 관리를 채택하려면 교량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 유형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 기술은 데이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변경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집할 데이터 (인벤토리, 비용, 성능, 안전 및 환경 및 위험)와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정의하는 전략이 제안되었다. 이 전략은 또한 육안 검사 체제 개선, 비파괴 평가 및 구조적 상태 모니터링 채택, 벤치마킹 데이터 수집 채택, 상태 평가 구현, 향상된 점검자 교육 과정을 포함하여 현재 뉴질랜드 데이터 수집 실무에 대한 변경을 권고하..

@ AM (자산관리) 2020.03.25

[AM관련법] 캐나다 온타리아의 일번영을 위한 인프라시설법에 AM기법 채택

1.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2015의 일번영을 위한 기반시설관리법(Jobs Prosperity Act) (1) 이 법의 목적은 일자리 창출 및 훈련 기회, 경제 성장 및 환경 보호를 지원하고 우수한 설계를 인프라 계획에 통합하는 원칙 기반의 증거 기반 전략적 장기 인프라 계획을 장려하는 메커니즘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2) 원칙 정부와 모든 광역 공공 기관은 인프라와 관련하여 의사결정을 할 때 다음 원칙을 고려해야합니다. 1. 인프라 계획 및 투자는 장기적 관점을 취해야 하며 의사결정자들은 무엇보다도 온타리오의 인구 통계 및 경제 동향을 염두에 두어 온타리오 사람들의 요구를 고려해야합니다. 2. 인프라 계획 및 투자는 2019 년 재정 지속 가능성, 투명성 및 책임 법에 따라 발표 된 재정 계획 및 200..